 |
▲ 경남 진주 LH 본사 사옥. LH 제공 |
[세계투데이 김재성 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원들의 경기 광명·시흥 신도시 땅 투기 의혹을 수사 중인 경찰이 강제수사에 착수했다.
경찰은 LH 본사 등을 압수수색하고, 피의자들을 출국금지하는 등 수사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검찰도 수사전담팀을 구성해 경찰과 협력하는 등, 경찰과 검찰이 합동으로 해당 의혹에 대해 집중 수사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법조계 일각에서는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가 의혹을 제기한 지 1주일이 지나서야 경찰의 강제수사가 시작되자 증거인멸 가능성을 우려하면서 검찰의 직접수사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이날 출범한 정부합동 수사본부에도 검찰은 참여하지 않았다.
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는 이날 수사관 67명을 동원, LH 본사와 경기지역 과천의왕사업본부, 인천지역 광명시흥사업본부 등에서 압수수색을 진행하며 강제수사에 착수했다.
또 투기 의혹을 사고 있는 LH 임직원 등 13명의 주거지 등에 대해서도 영장을 집행했다. 이들의 대한 출국금지 조치도 했다.
경찰 관계자는 "피의자들의 혐의 입증을 위해 토지 매입 시기와 방법, 동기 등을 폭넓게 조사하고 있다"며 "압수수색을 통해 증거자료를 확보해 법과 원칙에 따라 신속하고 엄정하게 수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박범계 법무부 장관은 이날 수사전담팀이 있는 수원지검 안산지청을 방문한 뒤 "검찰이 LH 투기 의혹과 관련해 할 큰 일 중 하나가 범죄수익환수"라며 "이진동 안산지청장으로부터 이에 대해 준비가 면밀히 잘 돼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LH 사건에 공직부패가 없다고 단정할 수 없기 때문에 검찰은 수사권 개혁 이후에도 열어놓고 준비해야 한다"며 "과거 1·2기 신도시의 경우 검찰이 직접 수사를 통해 성과를 냈다"고 언급했다. 이는 현재 국가수사본부가 수사 중이지만 중대 부패범죄의 꼬리가 잡힐 경우 검찰이 직접 수사에 나설 가능성을 열어놓은 발언으로 분석된다.
[저작권자ⓒ 세계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