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근원물가 4.5%↑…외환위기 후 최대폭 상승

김효림 기자 김효림 기자 / 기사승인 : 2023-08-07 08:49:05
  • -
  • +
  • 인쇄
▲ 음식점 등이 밀집한 서울 종각 젊음의거리 모습. 연합뉴스 제공

 

날씨나 국제유가 등 일시적 요인에 따른 물가 변동분을 제외한 '근원물가'가 올해 외환위기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소비자물가지수 총지수는 하락하고 있지만 외식 물가 상승세가 누적되면서 장기적인 물가의 기저 흐름은 높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분석이다.

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1∼7월 누계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5% 상승했다.

이는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1∼7월 6.8%를 기록한 뒤로 가장 높은 수준이다. 금융위기 때인 2009년 1∼7월 4.2%보다도 높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날씨 등 계절 요인에 영향을 받는 농산물, 국제유가 변동에 취약한 석유류 관련 품목을 제외하고 산출하기 때문에 총지수에 비해 등락 폭이 크지 않다. 주로 물가 변동의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기 위한 근원물가지수로 활용되는 이유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 상승률은 외환·금융위기 때를 제외하면 통상 1∼2% 내외에 머물렀다. 하지만 코로나 확산세가 한풀 꺾인 2021년 말부터 전년 동월과 비교해 상승 폭을 키우기 시작했다.

지난해 1월 전년 동월 대비 3.0%까지 올라선 상승률은 1년 만인 올해 1월 5.0%로 정점을 찍었다. 이후 상승 폭은 줄고 있지만 속도가 더딘 탓에 지난 3월(4.8%)에는 2년여만에 소비자물가 총지수(4.2%)를 추월했고 지수 간 격차는 매달 확대 추세다. 소비자물가지수는 최근 석유류 물가의 역대급 하락세에 힘입어 2%대에 머물고 있다.

근원물가 고공행진의 주된 이유로는 외식 물가가 주도하는 높은 서비스 물가가 꼽힌다.

통계청 관계자는 "물가 상승 기여도 측면에서 보면 외식 물가를 중심으로 개인 서비스 분야의 기여도가 높은 편"이라며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여파로 원자재 가격이 상승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외식 물가 상승으로 서울의 삼계탕 한 그릇 평균 가격이 1만6천원을 넘어선 가운데 시장에서 직접 재료를 사다 집에서 해 먹는 비용도 껑충 뛴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17일 명동. 연합뉴스 제공

문제는 근원물가 상승 폭이 최근 조금 줄었지만, 서비스 소비가 늘고 있어 앞으로 상승률이 더 낮아질지 장담할 수 없다는 점이다.

한국은행 조사국 물가동향팀은 지난 6월 발표한 보고서에서 "근원 인플레이션의 향후 경로와 관련해서는 상방리스크가 적지 않은 상황"이라며 "목표 수준(2.0%)을 웃도는 물가 오름세가 상당 기간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근 소비자물가지수가 수치상 안정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정부가 공정거래위원회·국세청까지 동원해 전방위적 물가 관리에 나서고 있는 것도 높은 근원물가 때문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역대급 세수 펑크 우려 속에 추진 중인 정부의 '감세 카드'가 자칫 고물가에 발목 잡힐 수 있다는 위기감이 정책 기저에 깔려있다는 것이다.

국세청은 최근 주류 할인 유도를 목적으로 '소매업자는 술을 구입 가격 이하로 소비자에게 팔 수 있다'는 내용의 고시 유권해석을 주류 업계에 보냈다. 공정위는 지난 6월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라면 가격을 언급한 뒤 주요 식품의 가격 추이에 대한 모니터링에 착수한 바 있다.

 

(출처:연합뉴스)

[저작권자ⓒ 세계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효림 기자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선교

+

사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