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부처 차원 계획 발표 본격화
 |
▲ 사진 = 게티이미지. |
[세계투데이 = 김재성 기자] 정부가 미래산업인 자율주행 자동차 분야 육성을 위해 범부처 차원의 계획을 발표하고 본격화에 나섰다. 오는 2027년 완전자율주행이 시행 될 수 있도록 1조원 이상을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14일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교통부, 경찰청 등 4개 부처는 "오는 15일 범부처 차원의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 2021년 신규과제 공모를 시작한다"며 "2027년까지 총 사업비 1조974억원(국비 8천320억원)을 투입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올해만 총 53개 신규개발과제에 850억4천만원을 지원한다.
정부의 이번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은 자율주행 자동차 및 미래차 분야의 선도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방안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관련된 4개 부처가 공동으로 추진하며, 1조974억원의 사업비를 예산으로 잡고 2021년부터 2027년까지 완료를 목표로 한다.
중점적으로 지원하게 될 5대분야는 차량융합, ICT융합, 도로교통융합, 서비스창출, 생태계 구축 등의 신기술이다. 이후 레벨4(완전자율주행) 수준의 차량을 기준으로 하며, 차량의 부품 및 ICT와 도로교통구축 기반의 변화를 필요로 한다.
이어 기준이 되는 레벨4 자율주행차의 차량융합 핵심 신기술 개발에 들어간다. 자율주행 컴퓨팅, 인지예측센싱, 정밀측위(Positioning), 협력제어, 자율주행-탑승자 상호작용, 안전설계 등이다.
첫 발을 내딛게 되는 올 해의 우선 추진대상은 총 15개 영역이며, 대표적인 기술은 핵심 인지센서 모듈 및 AI기반 고성능 컴퓨팅기술과 자율주행차 플랫폼 등이다. 이들 영역에만 182억원을 들인다.
이어 자율주행 안전강화 및 지능고도화를 위한 고성능 클라우드 서버 및 교통 인프라 엣지컴퓨팅을 연계한 자율주행 3-Tier 구조와 차량 내·외부를 연결하는 차량통신(V2X)기술과 보안기술 개발도 진행한다.
관계부처는 자율주행사업 성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수요연계형 과제를 실시 할 계획이다. 이때 자동차 제조 및 부품기업 등의 수요기업을 참여시키도록 유도하여 과제 선정 평가를 실시한다.
과제목표는 사회구조 및 기술발전 변화에 따라 상황을 판단해 탄력적으로 변경하도록 무빙타깃제를 운영한다. 또 수요기업과의 협의체도 구성 및 운영 할 예정이며 ICT분야 결과물은 스타트업과 기업 및 학계 등에서도 자유롭게 사용하도록 공개 소프트웨어(SW) 방식으로 제공하기로 했다.
이에 정부는 3월 내 가칭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 사업단을 구성하여 사업의 통합관리 및 성과를 전담하도록 할 예정이다.
정부 관계자는 "디지털 뉴딜의 핵심사업 중 하나인 이번 사업은 국내 자동차산업 및 도로와 교통의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모멘텀이 될 것"이라며 "국민이 체감 할 수 있도록 가시적인 사업성과 창출에 최선을 다 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김재성 기자 kisng102@segyetoday.com
[저작권자ⓒ 세계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