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출처:Unsplash |
미국 가톨릭 주교회의(U.S. Conference of Catholic Bishops, USCCB)는 이번 주 연방 정부와 맺은 난민 정착 및 아동 복지 서비스 계약을 갱신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가톨릭 기관들의 난민 지원 활동에 대한 연방 정부의 재정 지원이 불확실해진 가운데 이번 결정이 내려졌다고 처치 리더스(Church Leaders)는 전했다. 특히, 올해 1월 부통령 JD 밴스가 부통령으로서 가진 첫 TV 인터뷰에서 가톨릭 주교회의의 진정한 관심이 “재정적 이익(bottom line)“에 있다고 비판하면서 상황이 더욱 악화되었다.
연방 판사가 2월 말 트럼프 행정부가 내린 난민 정착 프로그램 지원 중단을 차단했으나, 행정부는 아직까지도 지원금을 재개하지 않았다. 전국의 가톨릭 자선 기관들 중 최소 12곳은 여전히 수백 명의 직원을 해고해야 하는 상황에 쳐해있다.
판사는 해당 조치가 “의회의 의지를 무효화하는(nullification of congressional will)” 것이라며 이를 막았지만, 루터교 커뮤니티 서비스(Lutheran Community Services Northwest)를 포함한 개신교 및 유대교 기반의 난민 지원 기관들(Church World Service, HIAS 등)은 트럼프 행정부의 난민 정착 프로그램 축소 및 개편 시도를 저지하는 데 일부 성공을 거뒀다. USCCB는 보다 제한적인 법적 논거를 내세워 행정부의 계약 중단 및 취소를 저지하려 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가톨릭 이민 지원 기관의 역사를 다룬 저서를 집필 중인 베일러 대학교(Baylor University)의 매기 엘모어(Maggie Elmore) 역사학 조교수는 종교 뉴스 서비스(RNS)와의 인터뷰에서 카톨릭은 “이민자, 난민, 망명 신청자를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1920년 초부터 연방 정부와 협력해 왔다. 오늘 발표는 전례 없는 일이며, 정부와 가톨릭 기관 간의 협력이 깨졌음을 보여준다. 이로 인해 주교회의가 제공해온 생명을 살리는 서비스에 의존하는 수천 명의 사람들이 큰 타격을 입을 것이다”라고 전했다.
엘모어 교수는 또한 과거 오바마 행정부에서도 USCCB 산하의 ’이민 및 난민 서비스 부서(Migration and Refugee Services)’가 연방 자금 지원 삭감을 겪었음을 언급했다. 이는 해당 기관이 피임 및 낙태에 관한 가톨릭교회의 입장을 고수했기 때문이며, 당시 행정부는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에 우선권을 부여했었다.
브로글리오(Broglio) 대주교는 성명을 통해 “우리는 여전히 ‘우리 중 가장 작은 자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하라는 복음의 부름’을 기준으로 방향을 결정한다. 우리는 가장 도움이 필요한 곳에 희망을 전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찾도록 하나님의 은혜를 구하며 함께 기도할 것을 요청한다”라고 밝혔다.
또한, 1917년 설립된 미국 가톨릭 전쟁 평의회(National Catholic War Council)가 단 3년 만에 ’이민국(Bureau of Immigration)’을 설립하여 미국 내 새로운 기회를 찾는 난민 및 이주민을 지원했던 역사를 강조했다. 그는 “우리 중 많은 이들이 자신의 부모, 조부모, 혹은 증조부모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 보면 이 기관의 도움을 받았던 가족들을 만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세계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