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시민단체 "한일 정상회담 졸속 추진 반대"…“사과와 배상 우선”

유제린 기자 유제린 기자 / 기사승인 : 2022-09-16 09:22:16
  • -
  • +
  • 인쇄

 

▲사진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611개 종교단체·시민사회단체로 구성된 '역사정의와 평화로운 한일관계를 위한 공동행동'(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은 유엔총회를 계기로 한일 정상회담이 추진되는 것을 반대한다고 밝혔다. 일본의 진정한 사과와 배상 없이 과거사 문제가 허술하게 합의돼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은 15일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일본에 면죄부를 주는 졸속합의를 반대한다"며 한일관계 현안에 합당한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했다.

단체는 정부가 외교적 성과에 급급해 강제동원 문제,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한일 군사협력, 방사능 오염수 방류 문제, 재일조선인 차별 문제 등 한일관계 현안에 대해 진정한 사과와 반성, 배상을 전제하지 않은 졸속한 합의를 시도하는 것을 심각하게 우려한다고 전했다.

 

이어 강제동원 문제와 관련해 2018년 대법원 판결의 정신을 훼손하는 임기응변식 대위변제를 모색하는 한국 정부에 대해 강력히 경고한다진정한 사죄 없이 가해자 전범 기업이 참여하지 않는 자발적인 성금으로 현금화를 막으려는 어설픈 시도는 강제동원 문제의 해결을 더욱 어렵게 만드는 것이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세계 각지에서 평화의 소녀상을 철거 협박을 계속하는 일본 정부의 반인권적인 행태, 수요시위를 혐오 발언으로 위협하는 역사부정 세력과 이를 방관하는 한국 정부의 무책임한 행태는 평화를 사랑하는 세계 시민들의 연대로 극복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 기자회견 /사진 = 연합뉴스

끝으로 단체는 한일 양국 정상이 일시적인 지지율 만회를 위해 과거사를 봉인하고 졸속한 만남과 협의에 급급할 것이 아니라, 지금이라도 인권과 정의, 생명과 평화를 바라는 한일 시민들의 진정한 바람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면서 인권과 존엄의 회복을 위한 강제동원 피해자들의 투쟁은 역사적인 대법원 판결이 제대로 이행되는 그날까지 계속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은 이날부터 20일까지 매일 용산 전쟁기념관 앞에서 1인 시위를 진행할 예정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달 18일부터 고()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의 장례식에 참석한 뒤 미국 뉴욕에서 진행되는 유엔총회에서 기조연설에 나설 계획이다. 유엔총회를 계기로 한일 정상회담을 하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투데이=유제린 기자wpfls1021@segyetoday.com

[저작권자ⓒ 세계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유제린 기자
  • 글자크기
  • +
  • -
  • 인쇄
뉴스댓글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선교

+

사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