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왼쪽)가 6일 오후 후보 단일화 압박에 반발하며 후보 일정을 중단한 김문수 당 대선 후보의 자택 앞에서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왼쪽)가 6일 오후 후보 단일화 압박에 반발하며 후보 일정을 중단한 김문수 당 대선 후보의 자택 앞에서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 한덕수 무소속 예비후보가 7일 단독으로 만나기로 했지만, 여전히 단일화 과정이 순탄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이날 김 후보 측은 “한덕수 후보와 단독으로 만나기로 했다”면서도 “단일화는 전적으로 당 대통령 후보가 주도한다”고 못 박았다. 김 후보 측은 또 7일로 예정된 당원 여론조사를 중단해달라고도 요청했다. 한 후보 측은 “단일화 논의는 언제나 열려있고, 그 방법은 국민의힘 측에 일임했다”는 입장을 내놨다.

◇ 권영세 “단일화 약속 믿고 金 선택”

대선 후보 등록일을 불과 닷새 앞둔 6일 당 지도부와 김 후보 측은 하루 종일 신경전을 이어갔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전날에 이어 열린 의원총회에서 김 후보를 향해 “한덕수 무소속 예비후보를 먼저 찾아뵙겠다는 약속을 믿고 우리 당원과 국민은 김 후보를 선택했다”며 “당무우선권을 논하기 전에 국민과 당원에게 한 약속이 우선”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제 와서 그런 신의를 무너뜨린다면 당원과 국민을 배신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애초 김 후보를 이날 의원총회에 초청해 상견례를 하려 했지만 김 후보가 지방 일정을 이유로 응하지 않았다는 게 당의 설명이다.

전날 밤 김 후보 측이 제시안 3대 요구안(당무우선권 존중, 선거대책본부 설치, 후보 뜻 반영한 당직 인선)을 지도부가 받아들이기로 하면서 갈등이 잠시 봉합되는 듯했다. 그러나 당 지도부가 10~11일 전당대회를 열겠다는 소집공고를 낸 것이 불씨가 됐다.

지도부가 사실상 ‘단일화 시한’을 못 박자 김 후보 측이 이를 부당한 압력으로 받아들였다는 해석이 나온다. 그는 이날 입장문에서 지도부를 겨냥해 “후보에 대한 적극적 지원을 약속했지만 현재까지도 후보를 배제한 채 일방적 당 운영을 강행하는 등 사실상 당의 공식 대선 후보로 인정하지 않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전당대회를 여는 이유를 분명하고 명확하게 밝혀주길 바란다”고 했다.

 

◇ 金 “서울서 숙고”…극적 담판 가능성도

김 후보는 애초 이날 1박2일 일정으로 영남권 유세를 계획했다. 그는 오전에 경북 영덕군을 찾아 산불 피해 현장을 점검하고, 오후엔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준비지원단을 만났다. 다음날 부산 일정까지 진행할 계획이었지만 오후에 돌연 일정 중단을 선언했다.

김 후보는 경주에서 기자들과 만나 “일관된 단일화 의지를 분명하게 보였고 지금도 단일화에 대해 한결같은 마음”이라면서도 “두 번씩이나 대통령을 지키지 못한 당에서 당 대선 후보까지 끌어내리려고 하고 있다. 이럴 거면 왜 세 차례나 경선을 했나”라고 반문했다. 이어 “그래서 저는 후보로서 일정을 지금 시점부터 중단하겠다”며 “서울로 올라가서 남은 여러 가지 현안에 대해 대책을 마련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단일화가 추후 극적으로 타결될 가능성은 남아 있지만, 당장 물리적으로 쉽지 않다는 시각도 있다.

 

박형수 원내수석부대표는 저녁 의원총회 후 “내일(7일) 후보 측과 조율해서 가능하면 의총에 참석해 입장을 말씀할 기회를 갖도록 진행해 볼 생각”이라고 했다. 당초 김 후보를 만나 설득하려던 계획을 취소했던 지도부는 밤늦게 서울 봉천동 김 후보 자택을 찾아 설득을 시도하기도 했다.

다만 김 후보 측은 전 당원 여론조사를 예정대로 시행하면 강경 대응하겠다는 입장이어서 이견을 좁히기 어렵다는 평가가 나온다. 김 후보 캠프에서는 11일이 아니라 25일(투표용지 인쇄일)을 단일화 마감 시한으로 보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이날 밤 페이스북에 ‘당무우선권을 가진 대선 후보가 비대위를 해체할 권한을 가진다’는 홍준표 전 대구시장의 과거 발언을 공유하기도 했다. 단일화를 압박하는 당 지도부를 향한 경고라는 게 정치권 해석이다.

이에 대해 권성동 원내대표는 “단일화되면 개입할 이유가 없다”면서도 “(여론조사는) 이미 발표한 사안이기 때문에 공당이 당원들과 약속한 사항을 지켜야 된다”고 했다.

 

출처: 한국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