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 색 어 :
  • 검색구분 :
  • 기사제목
  • 기사내용
  • 기자이름
  • 제목+내용
  • tag
  • 검색기간 :
  • 최근일주일
  • 최근1개월
  • 최근6개월
  • 최근12개월
  • 전체

thumbimg

백악관, '파월 해임 가능성' 질문에 "계속해서 검토중"
김효림 2025.04.19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사임을 압박하면서 기준 금리 인하를 요구하는 가운데 백악관이 파월 의장의 해임 문제에 대해 계속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 ...

thumbimg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 '3천58명'…증원 이전 규모로 확정
김효림 2025.04.17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이 증원 이전 규모인 3천58명으로 확정됐다. 작년 2월 의대 정원을 5천58명으로 2천명 늘린 지 1년여 만에 다시 증원 전인 2024학년도 정원과 같은 수준으로 되돌아간 것이다. 정부는 전제조 ...

thumbimg

한은 총재 "추경 12조, 성장률 0.1%p 높이는 효과"
김효림 2025.04.17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7일 "추가경정예산을 12조원 규모로 집행하면 0.1%포인트(p) 정도 경제성장률을 높이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날 한은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연 2.75%로 동결한 뒤 기자간담회를 ...

thumbimg

아픈 역사 '제주4·3'·녹색혁명 '산림녹화' 세계기록유산 등재
김효림 2025.04.11
제주 4·3의 아픈 역사와 전후 '녹색혁명' 과정을 기록한 자료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Memory of the World)이 됐다. 11일 국가유산청과 제주도 등에 따르면 유네스코 집행이사회는 10일(현지시간) 오후 프랑스 ...

thumbimg

김연경 만장일치 챔프전 MVP…흥국생명, 6년 만에 통합우승
김효림 2025.04.09
흥국생명이 6시즌 만에 통합우승(정규리그 1위·챔피언결정전 우승)을 달성하며 프로배구 여자부 최다인 5번째 우승 트로피를 수집했다. 올 시즌이 끝나고 은퇴하는 김연경은 16년 만에 V리그 우승 트로피를 들고 화려했던 선수 생활 ...

thumbimg

[속보] 외신, 헌재 탄핵 인용 결정 일제히 긴급 타전
김효림 2025.04.04
헌법재판소가 4일 윤석열 대통령의 파면을 결정하자 주요 외신들은 이를 일제히 주요 기사로 신속히 보도했다.로이터통신은 "한국의 헌법재판소가 윤 대통령을 파면했다"며 "한국에 수십년 사이 최악의 정치적 위기를 촉발시킨 계엄령 선포와 관 ...

thumbimg

美, FTA 맺은 韓에 25% 상호관세 '폭탄'…글로벌 통상전쟁 격화
김효림 2025.04.0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모든 국가에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면서 전면적인 글로벌 통상 전쟁을 선포했다. 그동안 전세계 국가들이 미국을 갈취해 심각한 무역 불균형을 야기했다면서 자의적인 관세 및 비관세 장벽에 대 ...

thumbimg

중대본 "경북·경남 산불 주불 모두 진화…역대 최대 피해"
김효림 2025.03.30
고기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은 30일 "지난 21일부터 경남과 경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한 대형산불은 총력 대응 끝에 주불을 모두 진화했다"고 밝혔다. 고 본부장은 이날 경북도 재난안전상황실에서 ...

thumbimg

CGN 개국 20주년 감사예배…"비전과 사명 다짐"
김효림 2025.03.29
CGN이 개국 20주년을 맞아 서울 용산구 온누리교회에서 감사예배를 드리고 지난 20년간의 여정을 돌아보며 앞으로의 비전과 사명을 새롭게 다짐했다.CGN 이사장 이재훈 온누리교회 목사는 ‘온누리에 복이 되라’(창세기 12:1~4)는 ...

thumbimg

전국 동시다발 산불에 재난 사태 선포…4명 사망, 수백명 대피
김효림 2025.03.23
주말인 22일 건조한 날씨 속 전국 곳곳에서 대형 산불이 잇따르면서 진화작업을 하던 대원 등 4명이 숨지고 주민 수백명이 대피했다. 이틀째 이어지는 경남 산청지역 산불이 진화되지 않은 상황에서 이날 30건의 산불이 추가로 발생하 ...

주요기사

+

많이 본 기사

선교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